[Docker] 도커 데스크탑 MariaDB 설치 실행

 

 

 도커 데스크탑 MariaDB 설치 실행

 

 

 

 

 

상단 파란색 바에서 검색을 하면 위와같은 창이 뜹니다.

필요한것을 선택하여 Pull 합니다.

 

 

Images에서 Action을 클릭하여 하나 만들어 줍니다.

 

그럼 contanier 이름과 port 환경변수 등을 설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Volumes의 경우 컨테이너를 지워도 보관할 데이터를 남겨두기 위해서 설정해 줍니다.

mariadb의 경우 MARIADB_ROOT_PASSWORD을 입력하여 최초 비밀번호를 세팅해 줍니다.

 

Container name : 컨테이너 이름

Ports : 포트포워딩할 포트 번호

Volumes :

    host path : c:\....  (내 컴퓨터의 특정 파일을 입력)

    Container : /var/lib/mysql (mariadb 내부의 파일 위치를 입력)

Environment variables

    variable : MARIADB_ROOT_PASSWORD (환경변수 이름)

    value : (환경변수 값: 여기서는 비밀번호)

 

 

 

mariaDB가 잘 만들어진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걸 Workbench에서 접속해 보려 합니다.

Hostname에는 도커를 설치해둔 컴퓨터의 ip를 입력해줍니다.

Port는 도커에서 mariaDB Container를 만들때 입력한 port를 적어줍니다.

 

 

잘 연결되어 접속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riaDB 컨테이너와 데이터 유지 관리

 

  1.  DB 생성: Workbench에서 newDB라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2. 데이터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호스트 시스템의 data 폴더에 저장됩니다. 이 폴더는 Docker 볼륨을 통해 MariaDB 컨테이너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3. 컨테이너 삭제: MariaDB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호스트 시스템의 data 폴더에 저장된 파일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이 폴더의 데이터는 계속 보존됩니다.
  4. 컨테이너 재생성: 새로운 MariaDB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기존의 data 폴더를 연결하면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존되며, 컨테이너를 재생성해도 데이터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IT관련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Spring Boot, Vue, MariaDB, Nginx 통합 배포하기  (0) 202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