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Action 설정 Actions - set up a workflow yourself 코드 입력 - commit changes name: devops teston: push: branches: [ main ] jobs: deploy: name: Deploy to EC2 runs-on: ubuntu-latest steps: - name: get code from github uses: appleboy/ssh-action@v1.0.3 with: host: ${{ secrets.REMOTE_HOST }} username: ${{ secrets.REMOTE_USER }} key: ${{ sec..
git stash git stash는 Git에서 작업 중인 변경 사항을 임시로 저장하고,작업 디렉토리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git stash: 현재 변경 사항을 스택에 저장하고 워킹 디렉토리를 깨끗한 상태로 만듭니다.git stash list: 저장된 stash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git stash apply: 마지막으로 저장된 stash를 워킹 디렉토리에 적용합니다. stash는 스택에서 제거되지 않습니다.git stash pop: 마지막으로 저장된 stash를 워킹 디렉토리에 적용하고, 스택에서 제거합니다.git stash drop: 특정 stash를 스택에서 제거합니다.git stash clear: 모든 stash를 제거합니다. git init (f1파일 생성)..
git branch 브랜치를 만든다 git branch 기본 명령어 git branch [브랜치이름] : 새로운 브런치 생성git branch [브랜치이름] 새로운 브랜치를 만드는 명령어이다.exp라는 브랜치가 생성한 것이다.브런치를 생성하면 현재 위치에 가지고 있는 파일과 코드를 그대로 복사하여 만들어 진다. git branch : 브런치 목록보기git branch현재 가지고 있는 branch 목록을 볼 수 있다.초록색이 지금 있는 branch를 나타낸다. git checkout [브런치이름] : 해당 브런치로 이동git checkout 브랜치이름위에서 만든 exp 브런치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브런치 생성 후 파일 수정 master 브런치에서 f1.txt파일을 생성하고 commit..
git commit 취소reset과 revert가 있습니다. git reset git log를 했을때 5개의 commit내역이 있다. git reset [되돌리고자 하는 commit log 번호] --hard5,4 커밋을 삭제하고 3을 최신 상태로 바꿔보자! 명령어 실행시 f1.txt 파일 내용이 commit 3번째했을때의 내용으로 바뀌어 있다. --hard를 실행하면 commit 4,5의 내용을 삭제한것처럼 보여진다.파일 안에서 내용도 commit 3의 상태로 돌아가져 있다. github 같은 공유저장소에 올리고 나서는 --hard reset을 하면 안된다.이유는 내가 commit한 내용 뿐만이 아니라 함께 사용하는 사람들의 내용까지 같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git revert
git 변경사항 확인하기 git log -p : 소스상의 차이점 확인 가능git log -p git diff (logId).. (logId) : logId를 이용하여 각 log 사이의 코드 차이점을 알 수 있음git diff (logId).. (logId) 작업간의 코드 차이점을 통해서 마지막으로 확인할 수 있음 git diff : 파일 내용 수정 후 차이점 확인git difff1.txt 파일의 내용을 "f1.txt : 4" → " f1.txt : 5"로 수정했을때 git diff 명령어 입력시 위와같이 표기된다.수정 전 파일 내용은 빨간색, 수정 후 파일 내용은 초록색으로 표기된다.
git stage area git에는 stage와 repository라는 개념이 있습니다.stage는 commit 대기 파일이 있는곳이고, 결과가 저장되는 곳은 repository 입니다. git 특정 파일만 커밋하기 cp : 파일 복사cp [원본파일명.확장자] [새로운파일이름.확장자] git status를 입력하면 새로만든 f2.txt 파일이 버전관리가 안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git add : 버전관리에 추가git add [파일명.확장자]새로만든 파일을 git 버전관리에 등록 시킨다. git status 입력시 새로운 파일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git commit : 변경 커밋git commitI (INSERT 모드로 변경)파일 내용작성 후 ESC:wq (저장 후 종료)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