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 젠킨스
[Jenkins] 젠킨스?
젠킨스는 오픈 소스 자동화 서버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CI)과 지속적 배포 (Continuous Deployment, CD)를 지원하는 도구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Jenkins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빌드, 테스트, 배포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Jenkins의 주요 기능
- 지속적 통합 (CI):
- 코드 변경이 있을 때마다 자동으로 빌드하고 테스트를 실행하여, 코드 품질을 유지하고 통합 문제를 조기에 발견합니다.
- 지속적 배포 (CD):
- 자동으로 빌드된 소프트웨어를 다양한 환경(예: 개발, 테스트, 프로덕션)에 배포하여,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고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 플러그인 기반 아키텍처:
-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it, Docker, Maven, JUnit, Slack과 같은 툴과 통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 다양한 빌드 및 배포 파이프라인 구성:
- 복잡한 빌드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웹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빌드 상태, 테스트 결과, 로그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분산 빌드 시스템:
- 여러 대의 컴퓨터에서 병렬로 빌드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빌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Jenkins의 작동 방식
- 소스 코드 커밋:
- 개발자는 소스 코드를 버전 관리 시스템(Git, SVN 등)에 커밋합니다.
- 트리거:
- Jenkins는 설정된 트리거(예: 소스 코드 커밋, 스케줄 등)에 따라 자동으로 빌드를 시작합니다.
- 빌드 및 테스트:
- Jenkins는 소스 코드를 빌드하고, 자동화된 테스트를 실행하여 결과를 보고합니다.
- 배포:
- 빌드된 소프트웨어를 지정된 환경에 자동으로 배포합니다.
- 결과 피드백:
- 빌드와 테스트 결과를 대시보드에 표시하고, 문제 발생 시 알림을 전송합니다.
[Jenkins] 설치 방법
[Jenkins] 젠킨스 설치 방법
1. 레포지토리 추가
curl -fsSL https://pkg.jenkins.io/debian/jenkins.io-2023.key | sudo tee /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dev/null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https://pkg.jenkins.io/debian binary/ | sudo tee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dev/null
apt update
2. 자바 설치
apt install openjdk-17-jdk
3. 젠킨스 설치
apt install jenkins
4. 젠킨스 실행
systemctl restart jenkins
5. 대시보드 접속
http://젠킨스 설치pcIP:8080 입력하여 대시보드 접속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경로가 초기 패스워드 저장 경로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초기 패스워드 확인을 위해 입력
패스워드 대시보드에 입력
Install Suggested plugins 클릭
6. 계정 생성
계정입력 후 save and continu 클릭
save and finish 클릭
7. 로그인
생성한 계정 입력 후 로그인
Jenkins 대시보드 접속 완료
'IT관련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Jenkins, Docker, Kubernetes를 활용한 자동화 빌드 및 배포 프로세스 (0) | 2024.08.24 |
---|---|
[Jenkins] 젠킨스 Git 연동 방법 (0) | 2024.08.23 |